반응형
이더리움(ETH)은 2022년 머지(Merge) 이후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누구나 ETH를 예치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스테이킹’이 가능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더리움 스테이킹의 개념부터 실제 참여 방법까지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은 말 그대로 코인을 예치하고 블록체인 운영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더리움에서는 예치된 ETH를 바탕으로 검증자(Validator)가 되어 블록 생성과 검증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습니다.
스테이킹을 하는 3가지 방법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직접 스테이킹 (32 ETH 이상 보유자)
- 본인이 직접 검증자 노드를 운영
- 32 ETH 필요, 기술적 지식과 서버 운영 필요
- Launchpad 사이트에서 시작 가능
- 보상률: 약 연 3~5% (시기에 따라 다름)
- 리스크: 시스템 다운 또는 부정행위 시 페널티(슬래싱) 발생 가능
2. 스테이킹 풀 참여 (소액 가능)
- 예: Lido, Rocket Pool
- 32 ETH 없이도 참여 가능
- 예치하면 stETH 같은 토큰으로 보유 자산을 증명
- 보상률: 연 3~5% (수수료 포함)
- 장점: 유동성 유지 가능, 편리함
- 단점: 스마트컨트랙트 리스크, 탈중앙화 수준 다름
3. 거래소 스테이킹
- 예: Binance, Coinbase, 업비트, 빗썸
- 거래소를 통해 클릭 한 번으로 스테이킹
- 간편하지만 중앙화 위험 존재
- 보상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어떤 방법이 좋을까?
📌 이더리움 스테이킹 요약 카드
구분 | 직접 스테이킹 | 스테이킹 풀 | 거래소 스테이킹 |
최소 수량 | 32 ETH | 제한 없음 | 제한 없음 |
기술 지식 | 필요 (노드 운영) | 불필요 | 불필요 |
유동성 | 낮음 | 높음 (stETH 등) | 낮음 |
연 보상률 | 약 3~5% | 약 3~5% (수수료 차감) | 낮음 |
장점 | 최대 보상, 탈중앙화 | 간편, 유동성 토큰 보유 | 클릭 한 번, 초간편 |
리스크 | 다운타임·슬래싱 | 스마트컨트랙트 | 거래소 리스크 (중앙화) |
추천 대상 | 기술 가능한 고액 보유자 | 탈중앙화 선호 일반 사용자 | 초보자·편의 중시 사용자 |
마무리: 나에게 맞는 스테이킹은?
- ETH를 많이 보유했고, 서버 운영이 가능하다면 → 직접 스테이킹
- 기술은 부담스럽지만 탈중앙화 선호한다면 → 스테이킹 풀
- 단순히 ETH 보유로 수익을 얻고 싶다면 → 거래소 스테이킹
스테이킹은 단순히 보상만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안을 지키는 활동이기도 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스테이킹에 참여해보세요!
숨 막히는 저금리 시대, 솔라나 스테이킹이 매력적인 투자 옵션인 이유
목차글 소개은행 예금 금리 vs 솔라나 스테이킹 수익률솔라나 스테이킹의 매력적인 장점스테이킹의 위험 요소솔라나 스테이킹 예상 수익 계산 (원금 포함)나에게 맞는 투자 옵션일까?결론주의
ai4sapiens.com
반응형
'섹터 - L1 플랫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처럼, 그러나 더 빠르게: 이더리움의 L1 단순화 전략 전격 해부 (0) | 2025.05.13 |
---|---|
인터넷 컴퓨터 (Internet Computer) 코인 프로젝트 분석 (0) | 2025.05.12 |
미나(Mina) 코인: 간결한 블록체인을 통한 진정한 탈중앙화의 실현 (0) | 2025.05.01 |
온도파이낸스(Ondo Finance) 코인: 실물 자산 기반 RWA 혁신 (0) | 2025.04.29 |
알고랜드 코인(Algorand):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차세대 블록체인 생태계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