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 투자 매매 법

절대 속지 마세요! 잡코인에서 자주 쓰이는 8가지 사기 수법

by CryptoAsset 2025. 5. 13.
반응형

암호화폐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잡코인'이라 불리는 저품질·고위험 코인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단순한 투기 대상이 아닌, 투자자를 노린 사기 프로젝트일 수 있습니다. 겉보기에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체가 없는 '스캠 코인'들의 수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잡코인에서 자주 쓰이는 8가지 사기 수법

 

암호화폐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잡코인'이라 불리는 저품질·고위험 코인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단순한 투기 대상이 아닌, 투자자를 노린 사기 프로젝트일 수 있습니다. 겉보기에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체가 없는 '스캠 코인'들의 수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러그풀(Rug Pull) – 갑자기 사라지는 프로젝트

가장 흔한 사기 유형으로, 개발팀이 유동성을 확보한 뒤 갑자기 모든 자금을 빼내고 도망가는 방식입니다. 투자자들에게는 가치 없는 토큰만 남게 됩니다.

주의 신호:

  • 익명의 개발팀
  • 소스코드 미공개 (GitHub 없음)
  • 유동성 락(lock) 미설정

2. 슬로우 러그(Slow Rug) – 천천히 도망치는 사기꾼들

러그풀의 교묘한 변형으로, 프로젝트를 한동안 실제로 운영하며 투자자의 신뢰를 쌓은 후, 점진적으로 개발을 중단하고 커뮤니케이션을 끊으며 사라집니다. "개발 중", "파트너십 진행 중"이라는 말로 시간을 끌다가 결국 모든 소통 채널이 닫히게 됩니다.

3. 허니팟(Honeypot) – 팔 수 없는 코인

교묘하게 설계된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매수는 가능하지만 매도는 불가능하게 만든 사기 수법입니다. 코드에 익숙하지 않다면 이러한 함정을 사전에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4. 프론트 러닝(Front Running) – 투자자보다 먼저 움직이는 고래

개발자나 내부자가 투자자보다 앞서 대량 매입하거나, 알고리즘을 통해 일반 투자자의 매수 주문을 감지하고 그 앞에 주문을 넣어 시세차익을 챙기는 수법입니다. 결국 손해를 보는 것은 항상 일반 투자자입니다.

5. 펌프 앤 덤프(Pump and Dump) – 가격 띄우고 던지기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 "100배 간다", "다음 도지코인"과 같은 과장된 마케팅으로 투자자들을 유인한 후, 가격이 상승하자마자 내부자들이 대량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이후 급락한 차트만 남게 됩니다.

이미지 표시

6. 가짜 팀과 백서 – 실체 없는 명함놀이

LinkedIn 프로필, 백서, 웹사이트가 완벽해 보이지만 모두 가짜일 수 있습니다. 유명인사 사진을 도용하거나 AI로 생성한 얼굴을 팀 소개에 넣는 경우도 흔합니다. 백서는 대부분 표절이거나 의미 없는 기술 용어로 채워져 있습니다.

7. 조작된 유동성과 거래량

분산형 거래소(DEX)에서 하루 수십만 달러의 거래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실제 유동성이 아닐 수 있습니다. 봇을 이용해 거래량을 부풀리거나, 유동성 풀(LP)이 소수 지갑에 의해 장악되어 있어 갑자기 유동성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8. 에어드랍 피싱과 스캠 사이트

"무료 토큰 드립니다!"라는 메시지나 링크, NFT 초대장을 클릭했다가 지갑 자산을 탈취당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메타마스크 연결을 요구하거나 토큰 승인(approve) 과정에서 지갑 자산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게 됩니다.

절대로 모르는 링크는 클릭하지 마세요!

안전한 투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잡코인 투자는 대박보다 쪽박에 가까운 확률을 가집니다. 사기꾼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지만, 피해자들이 겪는 공포와 분노는 항상 비슷한 패턴을 보입니다.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 ✅ 팀 정보가 명확하고 검증 가능한가?
  • ✅ 코드가 GitHub에 공개되어 있는가?
  • ✅ 스마트컨트랙트 검증이 완료되었는가?
  • ✅ 유동성 락(lock)이 설정되어 있는가?
  • ✅ 지나치게 과장된 수익 약속은 없는가?

암호화폐 시장에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면, 그것은 대부분 여러분이 누군가의 이익을 위한 먹잇감이 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